본문 바로가기
아트 콜렉팅

미술 경매의 정의와 역사

by mystory62282 2025. 7. 3.

 

 

미술품 경매라는 용어는 흔히 사용하는 단어지만, 정확히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발전했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에선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 구체적으로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미술 경매는 미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거래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며 작품의 가치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경매의 어원과 역사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며, 국내 미술 경매 시장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미술 경매라는 용어의 어원에서부터 미술 경매의 역사적 배경, 그리고 한국의 미술 경매 시장의 구체적인 발전 과정까지 전문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소더비에서 진행한 미술 경매의 한 장면 @artnet news


미술 경매의 어원 (Auction)

‘경매’를 뜻하는 영어 단어 ‘Auction(옥션)’ 은 라틴어 ‘Augeō(아우게오)’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라틴어 Augeō는 ‘증가하다’, ‘상승시키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로, 물건의 가격을 경쟁을 통해 상승시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로마 시대에 ‘Auctio’(아욱티오) 라는 단어로 변형되었고, 이것이 현재 영어의 Auction(옥션) 으로 정착되어 쓰이고 있습니다.

즉, Auction의 본질적 의미는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쟁 행위’를 뜻하는 것입니다.


 

세계 미술 경매의 역사적 배경

미술품을 비롯한 상품을 경쟁 입찰 방식으로 판매하는 경매의 기원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기원전 500년경 고대 바빌로니아 에서는 여성과 가축, 각종 소유물을 경매 방식으로 거래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로마 제국 시대 에는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과 노예들을 경매를 통해 판매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습니다.

미술 경매가 전문화된 형태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점은 근대 이후이며, 특히 17세기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최초의 근대적 경매회사는 소더비(Sotheby’s) 로서 1744년 영국 런던에서 창립되어 주로 서적과 미술품을 거래했습니다.
  • 1766년에는 제임스 크리스티가 런던에서 크리스티스(Christie's) 를 창립하였고, 소더비와 함께 오늘날 세계 양대 경매회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20세기 들어 미술 경매는 전문적이고 투명한 가격 책정 방식으로 인정받으며 현재까지 세계 미술 시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미술 경매 시장의 형성과 발전 과정

한국 미술 경매시장의 역사는 비교적 짧습니다. 미술 경매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점은 1980년대 후반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초창기(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중반)

  • 최초의 본격적인 미술 경매회사는 1988년 설립된 ‘서울옥션’ 입니다.
  • 1990년대 초반까지는 대중의 관심 부족으로 시장 규모는 작았고, 일부 수집가들 중심으로만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 초기의 거래 품목도 제한적이어서 주로 전통적 한국화와 고미술 위주로 이루어졌습니다.

성장기(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 1998년 경제 위기 이후 미술 시장에 투명한 가격 책정 방식이 요구되면서 경매 시장의 역할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 2005년에는 ‘케이옥션’ 이 설립되며, 경매시장 내 경쟁 체제가 구축되었고, 이로 인해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 또한, 이 시기 미술품 거래의 투명성이 강화되었으며, 온라인 경매와 같은 다양한 거래 형태가 등장했습니다.

본격적인 성장과 세계화(2000년대 중후반 이후)

  • 2007년 박수근 화백의 작품 <빨래터>가 서울옥션에서 당시 최고가인 45억 2천만 원에 낙찰되며 국내 미술 경매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과 활성화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 이후 국내 경매 시장의 총 거래액이 연간 1천억 원대를 돌파하며 비약적 성장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 서울옥션은 홍콩과 같은 해외시장에 진출하였고, 한국 작가들의 국제적 위상 또한 경매를 통해 세계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최근 현황 및 전망(2020년 이후)

  • 최근 2020년대 들어서는 온라인 경매 활성화, NFT 작품 등장과 같은 새로운 흐름으로 미술 경매 시장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 경매가 급속히 성장하며 국내 경매사들도 온라인 경매를 통해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 최근 들어 신진 작가 작품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작품 투자에 대한 인식도 대중화되고 있어, 국내 경매 시장의 잠재적 성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술 경매 역사 요약표 (한국 중심)

시대주요 사건 및 특징
1988년 서울옥션 설립, 국내 최초 미술 경매 회사 등장
1990년대 후반 미술 경매 시장 투명성 및 거래 활성화 요구 증가
2005년 케이옥션 설립, 경쟁 구도 형성
2007년 박수근 작품 경매 최고가 낙찰로 시장 활성화 촉진
2010년대 서울옥션 홍콩 진출 등 해외화 추진
2020년 이후 온라인 경매 활성화, NFT 등장으로 미술 경매 시장 재편
 

미술 경매 역사 전문 참고 자료 및 사이트 (출처 추천)

아래의 전문적인 참고자료와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서울옥션 공식 홈페이지: seoulauction.com
  • 케이옥션 공식 홈페이지: k-auction.com
  • 한국 미술시장 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koreaartmarket.or.kr
  •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웹사이트: artbank.go.kr
  • 『한국 미술시장 바로 보기』 (저자 서진수, 미진사)
  • 『미술경매와 미술시장』 (저자 손영옥, 아트북스)

이제 미술 경매라는 용어의 어원과 역사, 그리고 우리나라 미술 경매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에 대해 전문적이고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본 포스팅을 바탕으로 미술품 경매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미술 컬렉팅의 멋진 첫걸음을 내딛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