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및 경제/부동산

혼인합가 특례 총정리: 일시적 2주택·3주택 사례까지 한눈에

mystory62282 2025. 9. 19. 14:36

 

 

1. 결혼하면 집이 두 채? 이럴 때 세금은 어떻게 될까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중 하나가 있습니다.
“우리 둘 다 집이 있는데, 결혼하면 1가구 2주택이 되는 거잖아? 세금은 어떻게 하지?”

요즘은 결혼 전에 집을 마련해두는 30~40대가 늘면서, 이런 상황이 흔해졌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세금. 양도세 폭탄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혼인합가 특례입니다.

 

 

혼인합가 특례와 절세 전략: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혼인합가 특례 총정리: 일시적 2주택·3주택 사례까지 한눈에


 

2. 혼인합가 특례란 무엇인가

2-1. 제도의 기본 개념

혼인합가 특례란, 결혼으로 인해 부부가 합쳐지면서 생긴 1가구 2주택 문제를 일정 기간 유예해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결혼으로 갑자기 2주택자가 되었을 때, 일정 조건만 지키면 세금 없이 집을 팔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거죠.

2-2. 1가구 2주택 문제 해결 방법

원칙적으로 2주택자가 집을 팔면 양도세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혼인합가 특례를 활용하면, 결혼 후 10년 이내에 집 한 채를 매도할 경우 1세대 1주택으로 인정받아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3. 실제 예시로 보는 혼인합가 특례

3-1. 남편·아내 각각 1주택 상황

  • 남편: 서울에 아파트 1채 보유
  • 아내: 인천에 아파트 1채 보유

결혼과 동시에 두 사람은 1가구 2주택자가 됩니다.

3-2. 결혼 후 10년 안에 집을 팔면 비과세

만약 이 부부가 결혼 후 7년 차에 인천 아파트를 매도한다면?
혼인합가 특례가 적용되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수억 원의 세금을 절약하는 셈이죠.

 


 

4. 혼인합가 특례의 조건과 유의사항

4-1. 혼인신고 필수

혼인신고를 해야만 특례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 동거는 안 됩니다.

4-2. 매도 시기(5년 → 10년으로 연장)

과거에는 5년이었지만, 현재는 10년 이내에 주택을 매도하면 됩니다.

4-3. 실거주 요건과 세금 계산 팁

일부 주택은 실제 거주 요건이 있을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어떤 집을 먼저 팔지에 따라 절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5. 혼인합가 특례의 다양한 사례 분석

5-1. 2주택자와 1주택자가 결혼한 경우

남편이 이미 2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아내가 1주택을 가지고 결혼하면, 결혼과 동시에 1가구 3주택이 됩니다. 이 경우에도 혼인합가 특례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5-2. 일시적 2주택자와 1주택자가 혼인한 경우

예를 들어, 남편이 종전주택 A와 신규주택 B를 가진 상태에서 아내가 C주택을 가지고 혼인한다면, 일시적으로 3주택이 됩니다.
이 경우에도 혼인합가 특례와 일시적 2주택 특례가 중첩 적용되어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5-3. 1주택자끼리 혼인 후 신규 주택을 취득한 경우

부부가 각각 1주택을 가진 상태에서 결혼 후 C주택을 새로 사면 1가구 3주택이 됩니다. 하지만 일정 기간 내에 종전주택을 매도하면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5-4. 일시적 2주택이 아닌 2주택자와 1주택자의 혼인 사례

A, B 주택을 가진 남편과 C주택을 가진 아내가 혼인했을 때도, 혼인신고 후 5년 이내 매도하면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5-5. 동거봉양 합가와 혼인합가 특례의 유사점

재미있게도, 부모와 합가하는 경우에도 비슷한 규정이 적용됩니다. 즉, 세법은 가족 단위의 합가 상황에서 세금 부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겁니다.


 

6. 혼인합가 특례의 장점과 단점

6-1. 절세 측면에서의 강점

  • 결혼으로 생긴 2주택 문제 해결
  • 양도세 비과세 혜택
  • 장기적으로 세금 부담 완화

6-2. 놓치면 손해 보는 리스크

  • 10년이라는 시간 제한
  • 혼인신고 필수
  • 실수로 기간을 넘기면 양도세 폭탄 맞을 수 있음

 

 

7. 국세청 유권해석으로 본 혼인합가 특례

7-1. 실제 해석 사례 정리

국세청은 혼인합가 특례를 폭넓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시적 2주택과 혼인합가 특례를 동시에 인정하거나, 신규 주택 취득 시에도 조건 충족 시 비과세를 허용하기도 합니다.

7-2. 특례와 일시적 2주택 규정의 중첩 적용 가능성

즉, 경우에 따라 두 가지 특례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어, 잘만 활용하면 절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8. 내 상황에 맞는 혼인합가 특례 활용 전략

혼인합가 특례는 단순히 세금을 아끼는 제도가 아닙니다.
결혼 후 가계 재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내 집 마련 전략을 세우는 핵심 열쇠입니다.

만약 결혼으로 인해 2주택 이상이 된다면, 혼인합가 특례를 반드시 확인하고 활용하세요.
잘만 활용하면 수천만 원, 많게는 억 단위 세금을 아낄 수도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공동명의가 답일까? 단독명의가 답일까? 실제 경험담 공개!


집 살 때 부부 공동명의 꼭 해야 할까? 장단점 총정리
집 살 때 부부 공동명의 꼭 해야 할까? 장단점 총정리